우분투 Virtualbox 설치
우분투(8.04)에서 VirtualBox를 설치해보자.
VirtualBox는 VMware와 비슷하게 가상으로 OS를 띄여주는 역할을 하지만 무료다.
우분투의 패키지 관리자를 통해 설치를 할 수도 있겠지만, 내 경우에는 그렇게 설치했을때 이유 모를 오류로 정상적으로 설치가 잘 되지 않았고, 또 최신버전으로 설치를 유지하기 위해서 직접 제공사이트에서 바이너리를 받아 설치하는 것을 권장한다.
설치 후에 실행을 시켜보면 사용자와 퍼미션이 없다는 메세지로 실행이 되지 않는다.
시스템 메뉴의 관리->사용자와 그릅 메뉴를 통해 vboxusers 그룹에 해당 사용자들을 체크해준다.
사용자 로그아웃 후 재접속하여 다시 virtualbox를 실행시키면 정상적으로 동작을 한다.
호스트키
가상OS와 호스트 OS간에 서로 이동할 수 있는 키가 바로 호스트키이다. 기본값으로는 키보드 오른쪽 ctrl 키이지만 설정으로 변경할 수있다. 그런데 우분투 8.10버전에서는 scim 입력기의 버그로 키보드가 전혀 먹지 않는다.
우선은 한글 입력기를 navi로 변경하여 사용하자.
입력기를 나비로 변경하면 이 키먹통버그는 해결할 수 있다. 얼마후에는 이 버그도 수정되겠지만 그 동안은 나비를 쓰도록 하자.
입력기를 나비로 바꾸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 im-switch -c
기본값은 scim 이고 나비도 기본으로 설치되어 있다.
Input Method는 nabi를 이용한다.
Virtualbox 의 옵션도 변경해주어야 한다.
Virtualbox -> 파일 -> 환경설정
입력탭에서 ’자동으로 키보드잡기’를 옵션을 해제한다.
이제 가상 OS에서도 키보드 입력이 잘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