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entOS 7.9에서 mongoDB 설치하기개발 2022. 4. 20. 14:41
이번에는 CentOS에서 mongoDB를 설치해보자.
과정은 이전 포스트인 맥에서 설치하는 것과 유사하다.
저장소 추가
우선 저장소를 추가한다.
/etc/yum.repos.d/mongodb-org-4.4.repo 파일을 생성하여 다음과 같은 내용을 추가한다.
[mongodb-org-4.4] name=MongoDB Repository baseurl=https://repo.mongodb.org/yum/redhat/$releasever/mongodb-org/4.4/x86_64/ gpgcheck=1 enabled=1 gpgkey=https://www.mongodb.org/static/pgp/server-4.4.asc이제 yum을 통해 설치해보자.
# yum install -y mongodb-org서비스 시작하기
# systemctl (start | stop | restart) mongomongoDB shell 접속
# mongo여기까지는 전에 맥에 설치했을 때와 비슷하나 이제 관리자를 추가해야 한다.
local에서 작업할 때는 크게 상관이 없었지만, 이제 별도의 DB 서버에 mongoDB를 설치했으니 누구나 모두 접속이 가능해졌다.
관리자를 추가하고 사용자를 추가해보자.
# mongo > use admin > db.createUser( { user:"admin", pwd:passwordPrompt(), roles:["root"] } )위와 같이 root 권한을 주면 모든 권한을 가진 슈퍼유저가 된다.
security.authorization 옵션 활성화
위와 같이 관리자를 추가했으면 /etc/mongo.conf 파일에서 security 부분을 활성화하고 재시작해야 한다.
# vi /etc/mongodb.conf security: authoriztion: enabled # systemctl restart mongod그럼 처음 접속했을 때 기본 데이터베이스 보이지 않게 된다.

다음은 관리자로 접속하는 방법이다.
# mongo -uadmin -p<비밀번호> --authenticationDatabase admin or # mongo -uadmin -p --authenticationDatabase admin or # mongo > use admin > db.auth('admin')
여기서 'authenticationDatabase' 개념이 생기는데, 이것은 사용자를 생성했을 때 사용된 데이터베이스 이름이다.
여기서는 root 권한이 있어서 넣지 않아도 상관없지만, 일반 사용자를 만들게 되면 보통 데이터베이스를 만들고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해서 db.createUser()로 사용자를 만들게 될 것이다. 이때 사용된 데이터베이스가 'authenticationDatabase'이다.
반응형'개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ckeditor5 및 이미지 업로더 설치 (1) 2022.07.19 오라클 11g exp/imp 을 이용한 백업 및 복원 (0) 2022.07.18 MaxOS에서 mongoDB 설치 (0) 2022.04.14 MariaDB 10.4 에서 datadir 위치 변경하기 (0) 2021.07.05 CentOS 7.9에 MariaDB 10.4 설치하기 (0) 2021.0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