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
-
게시판 페이징 만들기개발 2011. 6. 1. 00:58
게시판에 페이징을 구성할 때 클래스로 미리 만들어 놓고 간단하게 호출해서 사용하곤 했는데, 그렇게 쓰다 보니 점차 불편한 점이 보였다. 페이징을 클래스로 만들다 보니 적용후에는 웹서버를 재시작할 필요가 생겼다. 개발서버라면 크게 문제가 되지 않지만 실서버일 경우 함부로 서버를 내릴 수 없다. 디자인을 포함하다보니 디자인을 수정하기가 쉽지 않다. 그래서 jsp로 재편을 했다. 다른 라이브러리를 사용할 수 없는 경우가 있을 수도 있어서 JSTL은 사용하지 않았다. 페이징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우선 게시물의 총 갯수를 알아야 한다. 그래서 페이지를 나눌 수 있다. 한 페이지에 표시할 목록의 갯수가 필요하고, 페이지를 이동할 수 있도록 현재 페이지 번호가 필요하다. 또 검색을 포함한 경우 페이지를 이동했을때 검색..
-
Timer 를 이용한 스케쥴 관리개발 2011. 5. 31. 20:32
정기적인 호출이 필요한 경우 스케쥴관리를 위해 Timer 클래스를 이용한다. 이를 이용하면 리눅스의 crontab 효과를 낼 수 있다. import java.net.HttpURLConnection; import java.net.URL; import java.text.SimpleDateFormat; import java.util.Date; import java.util.Timer; import java.util.TimerTask; public class UpdateSNS extends TimerTask{ private URL url = null; private SimpleDateFormat sdf = new SimpleDateFormat("yyyy-MM-dd HH:mm:ss"); public void ru..
-
스크립트로 트위터 불러오기개발 2011. 5. 24. 01:14
며칠전 트위터 api를 이용하여 블로그 혹은 홈페이지에 붙이는 작업을 적은 적이 있는데, 개인은 그런 경우가 없겠지만 공공기관이나 혹은 보안을 요하는 곳에서는 외부로 연결되는 모든 연결을 막아놓는다는 것을 알았다. 외부에서 들어오는 것 뿐만 아니라 외부로 나가는 것 포함해서 심지어는 80포트도 말이다. 서버에서 외부로 연결할 수 없다면 소켓이나 기타 연결함수 등은 사용할 수 없다는 얘기다. 방법을 생각해보다가 그러면 스크립트로 외부 api 를 호출해서 사용하면 되지 않을까? 라는 생각을 했다. 서버 프로그래밍이 아니니 막힐 일도 없고 말이다. 하지만, 이내 불가능하다는 것을 알았다. 스크립트로 ajax를 이용하여 외부의 api를 호출하니 동작을 하지 않았다. 생각을 해보니 그럴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
트위터 api를 이용하여 트윗목록 확인하기개발 2011. 5. 16. 17:16
갑작스레 트위터의 글을 홈페이지에 붙이는 작업이 생겼다. 그래서 부랴부랴 api를 찾아보는데 언어에서 막히고 사용방법에서 막히고 어디가 어떤건지도 모르겠고... 한참을 고생하다 겨우 필요한 api를 찾을 수 있었다. 다행이도 인증을 거치지 않고 아이디만 입력하면 작성한 글 및 멘션까지도 보여준다. 접근성을 고려하여 스크립트로 하지 않고 jsp로 직접 작성하였다. 작업할 서버의 상태를 모르기 때문에 라이브러리는 사용하지 않도록 하였다. 순수 jsp 코드다. 0){%> 트래픽 초과로 잠시 데이터를 가져올 수 없습니다. 트윗내용에 링크가 있는 경우에는 그냥 표시하기에는 밋밋해서 하이퍼링크를 걸었다. 또 작성된 시간을 파악하여 현재시간을 기준으로 얼마나 시간이 지났는지도 표시하였다.
-
JDOM을 이용한 RSS 파싱개발 2011. 5. 7. 09:22
관심이 있는 블로그의 RSS를 한 곳으로 몰아서 볼 수 있도록 페이지를 구성했다. 왜냐하면 그런 RSS리더 프로그램들은 많이 있지만, 내 손으로 만들어 보고 싶기도 했고, 또 한 번 만들어 놓으면 다르게 유용하게 쓰일 수 있을 것 같아서였다. 하지만, 문제는 RSS파싱이이었다. 자바에는 기본적으로 XML을 파싱할 수 있는 라이브러리를 제공해주고 있다. 지금까지 그 라이브러리를 사용했었고, 또 문제가 된적도 없었다. 하지만 이번에 여러 블로그를 파싱하려고 보니 특정 블로그에서 파싱이 잘 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했다. 원인은 아직도 잘 모른다. 검색의 신도 잘 알려주지 않았다. 그래서 예전에 본 JDOM을 찾아보기로 했다. 사용해 본적은 없지만 많은 사람들이 JDOM을 사용하고 있다는 것은 이미 알고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