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라즈베리파이 유선랜 설정법라즈베리파이 2015. 5. 18. 12:44
1.interfaces $ sudo find / -name interfaces $ sudo vi /etc/network/interfaces 기존 유동 랜 설정 주석처리 iface lo inet loopback #iface eth0 inet dhcp 주석 후 아래내용 추가 auto eth0 iface eth0 inet static address [ip주소] network [ip주소에 마지막을 0으로] netmask [서브넷마스크] gateway [기본 게이트웨이] broadcast [기본DNS서버] 네트워크 재기동 $ sudo /etc/init.d/networking restart 2.resolv.conf 외부 인터넷이 가능하도록 DNS 설정 $sudo vi /etc/resolv.conf 아래내용 추가 n..
-
폰갭 업데이트하면서 변경된 부분개발 2015. 5. 1. 14:26
몇 달전 구글스토어에 올린 앱에 사용된 폰갭 라이브러리가 보안상 취약점이 발견되었으니 업데이트하라는 메일을 받았다.당장 급한 것은 아니어서 업데이트를 미루고 있었는데, 앱의 일부분을 수정해야할 일이 생겨 급하게 폰갭을 업데이트하게 되었다.폰갭을 사용한지가 꽤 되었고, 또 보안 이슈가 발생후 시간이 지난 이후여서 관련된 라이브러리를 업데이트하는데 시간이 꽤 소요되었다.업데이트까지는 문제가 되지 않았는데, 그 이후 호환성 부분에 많은 문제가 발생하였다. 폰갭은 카메라와 같은 네이티브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안드로이드에서 제공하는 WebView를 이용하지 않고 appView를 이용한다.appView를 이용하면 네이티브 함수를 호출할 수 있다. 또 웹에서 앱을 제어하기 위해 몇가지 함수를 호출했었는데(앱 종료 버..
-
제우스의 기본적인 명령어들개발 2015. 4. 21. 13:21
Jeus6이 정상적으로 설치가 끝났을 경우 jeus 명령어를 통해 container 기동 준비를 한다. # jeus container 는 여러개의 홈페이지를 띄울 수 있는 개념인데, boot 명령어를 통해 모든 container 를 기동한다. boot 명령어를 하기 위해서는 우선 새 창을 띄어 제우스 관리 툴에 접속한다. # jeusadmin {hostname} Login name > administrator Password > {설치시 입력한 비밀번호} JEUS 6.0 (Fix#9) administration tool hostname> boot 명령어를 통해 모든 컨테이터를 띄운다. hostname> boot 기동되고 있는 모든 컨테이너 확인 hostname > allenglist 하나의 컨테이너 시작..
-
웹투비 없이 제우스 띄우는 방법개발 2015. 4. 21. 13:20
Jeus6의 경우 정상적으로 설치나면 웹투비가 8080, 제우스가 8088 포트를 이용하여 서비스 페이지를 구동한다. 웹투비는 별도로 설치하지 않았는데, 제우스만 설치한 경우에도 웹투비의 모든 기능이 아닌 코어만 설치만 하여 웹투비를 구동한다고 한다. 우선 구동시 웹투비를 띄우지 않아야 한다. JEUSMain.xml 에서 ws engine1 위 부분을 주석처리해준다. 그러면 웹투비가 구동하지 않는다. 웹투비가 구동되지 않더라도 9900 포트를 이용하여 웹투비와 제우스가 통신하려 하는데, 이부분도 주석처리해준다. WEBMain.xml 에서 webtob1 9900 8192 5 5 1 30000 localhost MyGroup 위 부분을 주석처리해준다. 제우스 포트를 변경하고 싶다면 위 파일의 에 부분을 변경..
-
티베로 DB 백업 및 복원개발 2015. 4. 21. 13:20
제3장 tbExport 내용 목차 3.1. 개요 3.2. 특징 3.3. 빠른 시작 3.3.1. 실행 전 준비사항 3.3.2. Export 모드 3.3.3. 실행 3.4. 명령 프롬프트에서의 파라미터 지정 3.4.1. 파라미터 목록 3.5. 수행 예제 본 장에서는 tbExport 유틸리티를 소개하고 사용 방법을 설명한다. 3.1. 개요 tbExport는 Tibero에서 제공하는 Export 유틸리티이다. 이 유틸리티를 통해 Tibero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스키마 객체의 전체 또는 일부를 추출해 고유 형식의 파일로 저장하므로 데이터베이스의 백업과 다른 머신 간의 데이터베이스를 전송할 때 유용하다. tbExport 유틸리티에서 하나의 스키마 객체를 추출하면 그와 연관된 스키마 객체가 자동으로 함께 추출된다. ..
-
오라클 DB 백업 및 복원개발 2015. 4. 21. 13:19
오라클 DB백업하기 system 계정으로 - 전체백업 c:\> exp userid=system/java@orcl full=y file=파일경로or파일이름 system 계정으로 - scott 계정에 있는 DB 백업 c:\> exp userid=system/java@orcl owner=scott file='C:\back_up.dmp' scott 계정으로 - scott 계정에 있는 DB 백업 c:\> exp userid=scott/tiger@orcl file='C:\back_up.dmp' -------------------------------------------------------------------------- 오라클 DB복원하기/@ system 계정으로 - scott 계정에 있는 DB 복원 C:\>..
-
톰캣 두 개를 구동시 다른 톰캣의 URL을 호출하면 다른 한 쪽의 세션이 끊기는 경우개발 2015. 3. 25. 19:07
한 서버에 두 개의 톰캣을 구동할 경우 다른 한 쪽의 URL을 호출하면 다른 한 쪽의 톰캣의 세션이 종료된다. 해결방법 : server.xml 안에 context 안에 다음을 추가한다. 1번 톰캣 : sessionCookieName="one_JSESSIONID" 2번 톰캣 : sessionCookieName="two_JSEESIONID" 브라우저에 접속시 JSSIONID이름으로 로그인을 유지하는데, 도메인이나 아이피가 다르면 이를 다르게 인식하지만, 포트는 특별히 구별하지 않기 때문에 두 개의 톰캣을 port번호로만 구분할 경우 위의 JSESSIONID 가 덮어씌어지기 때문에 한 쪽 톰캣의 세션이 죽게 된다.그러므로 각각의 톰캣에 쿠키 이름을 다르게 지정해주면 포트가 다른 두 개의 톰캣이 서로 다른 톰캣..