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
톰캣에서 도큐먼트 디렉토리 위치 변경하기개발 2010. 12. 16. 09:58
톰캣을 이용할 경우 기본적으로 jsp 파일의 위치는 webapps/ROOT/ 가 된다. 만약 저 위치가 아니라 별도의 디렉토리에서 서비스를 하고 싶다면 다음과 같이 설정파일을 수정하면 된다. {톰캣설치경로}/conf/Catalina/localhost/ 에 ROOT.xml 파일을 만들고 다음과 같이 입력한다. /usr/local/apache-tomcat-6.0.29/conf/Catalina/localhost/ROOT.xml 의 파일 내용 docBase 속성에 실제 파일들이 존재하는 디렉토리의 절대 경로를 적어준다.
-
작안의 샤나애니/영화 2010. 12. 16. 02:36
마을에 사람들은 알지 못하는 두 무리가 서로 싸운다. 하나는 선이고 또 하나는 악이다. 선과 악이 뚜렸하여 서로 자기가 선이라구 우기는 '나디아'와는 사뭇 다르다. (좀 식상하다는 뜻이다.) 왜 악의 무리와 싸우는 정의의 편은 어린 여자아이일까? 세상을 지키는 막중한 책임을 져야할 사람이 건장한 남자가 아니라 왜 교복을 입은 여자아이일까? '에반게리온' 볼때도 마찬가지였다. 인류를 지키는 사람이 왜 아이들이지? 어쩔 수 없이 여자캐릭터를 이용해야 한다면 악당과 싸울때 납득이라도 갈 수 있도록 덩치큰 근육녀들이 더 적합하지 않을까? (물론 그렇게 그리면 이 애니를 보는 사람들은 없을 것이다.) 상업성이 들어가서 어쩔 수 없는 부분들도 있겠지만, 정말 이런류의 애니는 흥미도 없고, 이야기에 몰입도 되지 않는..
-
자장면이야기 2010. 12. 9. 23:00
어릴 적 자장면을 시켜 먹으면 항상 어머니께서 자장면을 비벼주셨다. 내가 비비면 잘 안비벼져서인지는 몰라도 항상 어머니께서 비벼 주셨고, 그것을 또 난 당연하게 생각했었다. 지금도 가끔 자장면을 먹기 위해 자장면을 비비면 그 때 생각이 난다. 어머니는 어떤 생각으로 비벼주셨을까? 그냥 아들이니까 어리니까 비벼주셨던 것이겠지. 지금 생각해보면 그때는 잘 몰랐지만, 그런것들이 굉장히 행복했던 것으로 기억된다. 아무것도 아닌 것처럼 보일 수도 있지만, 나는 지금 관심받고 있구나 라는 생각을 갖게 한다. 만약 그 자장면 조차 부모가 비벼주지 않고, 스스로 비벼 먹게 했다면, 지금의 나의 성격이 변했을 것 같은 느낌이다. 내가 아이의 아버지가 된다면, 그런 아무것도 아닌 일상에 아이는 아마도 어른이 된 후에 나처..
-
자바스크립트 유효성 함수모음개발 2010. 12. 8. 20:17
/* ================================================================= 영문자와 숫자로만 이루어졌는지 Check ================================================================= */ String.prototype.isid = function() { if (this.search(/[^A-Za-z0-9_-]/) == -1) return true; else return false; } /* ================================================================= NULL Check =============================================..
-
Tomcat Parameters: Invalid chunk ignored. - 경고개발 2010. 11. 23. 11:36
톰캣에서 post 혹은 get 을 이용하여 값을 처리할때 가끔씩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매개변수 명과 값의 구분이 안 되는 경우 발생하는데(예를 들어 요청중 &= 혹은 && 가 있는 경우) 이런 경우 오류메세지가 출력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톰캣의 경우 conf/logging.properties 파일에 다음을 추가하고 톰캣을 재시작한다. org.apache.tomcat.util.http.Parameters.level = SEVERE 이클립스의 경우 설정파일의 경로가 조금 다른데, $CATALINA_HOME/conf/logging.properties 에 위의 값을 추가한다. 이클립스를 사용하였을 경우 나는 다음의 파일을 수정하였다. C:\Program Files\Java\jre6\lib
-
아파치 톰캣 연동 설정개발 2010. 11. 22. 20:49
1. 아파치 설치 # ./configure --prefix=/usr/local/apache2 --enable-module=so --enable-rewrite --enable-so # make # make install 2. 톰캣설치 # tar zxvf apache-tocmat6.tar.gz # mv apache-tomcat6 /usr/local 3. 커넥터 설치 # tar zxvf tomcat-connector-1.2.xx.tar.gz # cd tomcat-connector1.2 # cd native # ./buildconf.sh # ./configure --with-apxs=/usr/local/apache2/bin/apxs # make # make install 4. 연동설정 1) /usr/local/..
-
getOutputStream() has already been called for this response 오류개발 2010. 11. 2. 18:43
가끔씩 나오지만 크게 문제가 되지 않아서 그냥 두었었는데 꽤 유명한 오류인가봅니다. 검색해 보니 많이 나오네요. jsp 에서 이미지나 다운로드를 처리하기 위해 OutputStream 을 받아서 처리하는데, jsp에서 servlet으로 변환될때 내부적으로 out 객체가 생성된다고 합니다. 그래서 jsp에서 out 객체를 만들면 이후에 생성되는 out과 충돌이 나타나서 이미 호출되었다는 메세지가 나타나는 것이죠. 결론은 out 객체를 생성할 필요가 있다면 서블릿에서 호출하고 jsp에서 호출하지 않으면 됩니다. 하지만 어쩔 수 없이 jsp 에서 out 객체를 생성할 필요가 있다면 out 호출 이전에 다음과 같이 코드를 넣어주면 됩니다. out.clear(); pageContext.pushBody(); 기존의 ..